그래프(Graph)의 개념
-정점(vertex)과 간선(edge)으로 구성된 한정된 자료구조
-즉, 그래프는 정점과 정점 사이를 연결하는 간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래프는 흔히 G=(V, E)로 표현되며, V와 E는 각각 정점의 집합, 간선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그래프의 유형
-그래프는 특징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1. 방향 그래프(Directed Graph), 무방향 그래프(Undirected Graph)
-간선에 방향성이 있냐 없냐에 따라서 방향 그래프와 무방향 그래프로 나뉩니다.
-방향 그래프의 간선에는 방향이 있고, 화살표로 표시가 됩니다.
-무방향 그래프의 간선에는 방향이 없고, 그냥 실선으로 표시가 됩니다.
2. 완전 그래프(Complete Graph)
-각 정점이 다른 모든 정점들과 연결되어 있는 그래프
-최대 간선 수를 가진 그래프이다.
-정점의 개수가 n개일 때,
- 방향 그래프는 n(n-1)개의 간선을 가지고,
- 무방향 그래프는 n(n-1)/2개의 간선을 가진다.
3. 부분 그래프(Subgraph)
-기존 그래프에서 일부 정점이나 간선을 제외한 그래프
4. 연결 그래프(Connected Graph)
-모든 정점들이 간선으로 연결된 그래프(하나의 덩어리)
5. 단절 그래프(Disconnected Graph)
-모든 정점들이 하나로 연결되지 않은 그래프
6.가중치 그래프(Weighted Graph)
-각 간선에 가중치가 부여되어 있는 그래프
7. 사이클이 없는 방향 그래프(Directed Acyclic Graph)
-말 그대로, 사이클이 없는 방향 그래프를 말한다.
그래프 관련 용어
- 인접 : 두 정점을 연결하는 간선이 존재하면 두 정점은 서로 인접하다고 합니다.
- 부속 : 어느 간선이 어느 정점을 연결하고 있으면 그 간선은 그 정점에 부속되어 있다고 합니다.
- 차수(degree) : 어느 정점에 부속된 간선의 수를 그 정점의 차수라고 합니다.
- 경로(path) : 그래프에서 간선을 따라 갈 수 있는 길을 경로라고 합니다.
- 경로 길이 : 경로를 구성하는 간선의 길이를 말합니다.
- 단순 경로 : 모두 다른 정점으로 구성된 경로를 단순 경로라고 말합니다.
- 사이클(cycle) : 단순 경로 중에서 시작 정점과 끝 정점이 같은 경로를 사이클이라 말합니다.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구조]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 (0) | 2023.06.04 |
---|---|
[자료구조]힙(Heap) - 최대 힙(Max Heap), 최소 힙(Min Heap) (0) | 2023.05.29 |
[자료구조]이진 트리를 Linked List로 표현하기 (0) | 2023.05.24 |
[자료구조]완전 이진 트리를 배열로 나타내기 (0) | 2023.05.24 |
[자료구조]두 이진 트리가 같은지 판별하는 법(Testing for Equality of Binary Trees) (0) | 2023.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