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퍼랜드 필드2 [컴퓨터구조][기초] 명령어의 구조 - 오퍼랜드 *해당 글은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강민철 지음)'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더 자세히 공부하고 싶으신 분들은 해당 책을 읽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지난 시간에 명령어의 구조와 연산 코드에 대해 간단히 배웠습니다.명령어는 연산 코드와 오퍼랜드로 이루어져있다고 했었죠? 이번 시간에는 오퍼랜드에 대해 알아볼 것입니다! 오퍼랜드는 연산에 사용될 데이터나 데이터의 주소를 의미한다고 했었습니다.하지만 많은 경우에, 메모리나 레지스터의 주소를 담는 경우가 많습니다.오퍼랜드 필드에 실제 데이터를 담기에는 명령어의 길이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명령어가 n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그중 연산 코드 필드가 m비트라고 해봅시다.이 경우에는 전체 오퍼랜드 필드가 (n-.. 2025. 3. 11. [컴퓨터구조][기초] 명령어의 구조 - 연산 코드 *해당 글은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강민철 지음)'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더 자세히 공부하고 싶으신 분들은 해당 책을 읽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지난 시간에는 소스 코드가 명령어로 바뀌는 과정에 대해 배웠습니다.이번 시간에는 이 명령어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그 구조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연산 코드와 오퍼랜드명령어는 연산 코드(Operation Code)와 오퍼랜드(Opearand)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연산 코드는 명령어가 수행할 연산을 말하고,오퍼랜드는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 혹은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를 말합니다.연산 코드가 담기는 영역을 연산 코드 필드, 오퍼랜드가 담기는 영역은 오퍼랜드 필드라고 합니다. 오퍼랜드오퍼랜드는 연산에 사용.. 2025. 3. 1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