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U7 [컴퓨터구조][기초] 인터럽트 - 동기 / 비동기(하드웨어) 인터럽트 *해당 글은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강민철 지음)'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더 자세히 공부하고 싶으신 분들은 해당 책을 읽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지난 시간에 명령어 사이클을 배웠습니다.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과정에 대해서 배웠죠?이번 시간에는 인터럽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인터럽트(Interrupt)는 '방해하다', '중단시키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명령어 사이클에 따라 프로그램들이 실행되는데, 중간에 잠시 중단될 때가 있습니다.이처럼 예기치 못한 상황에 의해 CPU의 작업을 중단되는 상황 또는 중단시키는 신호를 인터럽트(Interrupt)라고 합니다.어떤 특별한 상황이 발생했으니, 잠시 하던 것을 멈추고 이것부터 처리해달라고 요청하는 거죠. 인터.. 2025. 3. 26. [컴퓨터구조][기초] 명령어 사이클 *해당 글은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강민철 지음)'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더 자세히 공부하고 싶으신 분들은 해당 책을 읽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지난 시간까지 CPU에 대해서 배웠습니다.CPU는 명령어를 실행하는 장치죠?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CPU가 명령어를 어떻게 실행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PU가 명령어를 처리하는 과정에는 정해진 흐름이 있습니다.이 흐름을 명령어 사이클(Instruction Cycle)이라 합니다.명령어 사이클이란,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전체 과정(주기)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CPU는 이렇게 정해진 흐름을 따라서 명령어들을 실행하게 되는데, 이 흐름이 중간에 끊어지기도 합니다.자동차가 갑자기 끼어드는 것처럼요!이렇게 실행 중인 .. 2025. 3. 25. [컴퓨터구조][기초] CPU - 레지스터 (주소 지정 방식) *해당 글은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강민철 지음)'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더 자세히 공부하고 싶으신 분들은 해당 책을 읽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지난 시간에 CPU의 레지스터에 대해 배웠습니다.대표적인 8가지 레지스터 중 6개를 간단히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나머지 2개에 대해서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오늘 배울 2가지 레지스터는 주소 지정 방식과 관련이 있습니다.지난 시간에 배운 프로그램 카운터와 오늘 배울 스택 포인터, 베이스 레지스터는 주소 지정에 사용될 수 있는 특별한 레지스터입니다. 스택 포인터는 스택 주소 지정 방식이라는 주소 지정 방식에 사용되고,프로그램 카운터와 베이스 레지스터는 변위 주소 지정 방식이라는 주소 지정 방식에 사용됩니다.스택 주소 지정.. 2025. 3. 18. [컴퓨터구조][기초] CPU - 레지스터 *해당 글은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강민철 지음)'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더 자세히 공부하고 싶으신 분들은 해당 책을 읽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최근에 컴퓨터의 4가지 핵심 부품에 대해 알아보면서, 현재 CPU를 살펴보고 있습니다.지난 시간까지 CPU의 ALU와 제어 장치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레지스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레지스터는 (CPU 내부의) 임시 저장 장치입니다.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명령어와 데이터는 레지스터에 저장됩니다.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필요한 정보들은 보통 레지스터를 거쳐간다는 것이죠. 레지스터는 이름, 종류, 크기가 다양합니다.그 중에서도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8가지의 레지스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 2025. 3. 17. [컴퓨터구조][기초] CPU - 제어장치 *해당 글은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강민철 지음)'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더 자세히 공부하고 싶으신 분들은 해당 책을 읽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지난 시간에는 CPU와 CPU 내의 계산 장치인 ALU를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이번 시간에는 CPU의 제어 장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제어장치(Control Unit)란, 컴퓨터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보내고, 명령어를 해석하는 장치라고 했습니다.여기서, 제어 신호는 컴퓨터 부품들을 관리하고 작동시키기 위한 일종의 전기 신호라고 했습니다.좀 더 풀어서 이해해보자면,명령어를 해석하고, 컴퓨터의 각 부품들을 제어 신호를 통해 작동시키면서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제어장치는 CPU를 구성하는 부품들 중 .. 2025. 3. 14. [컴퓨터구조][기초] CPU - ALU (산술/논리 연산 장치) *해당 글은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강민철 지음)'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더 자세히 공부하고 싶으신 분들은 해당 책을 읽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이번 시간부터는 컴퓨터의 4가지 핵심 부품에 대해 배워볼 것입니다.그리고 그 첫 번째는, 컴퓨터의 뇌라고 할 수 있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입니다.그래서 오늘은 CPU에 대한 대략적인 내용과 CPU를 구성하는 부품 중 하나인 ALU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컴퓨터구조 개요에서 컴퓨터의 4가지 핵심 부품을 소개하면서, CPU를 언급했었습니다.CPU란,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읽고, 해석하고, 그에 따라 실행하는 장치라고 했었습니다.그리고 CPU는 크게 3가지로 구성되어있.. 2025. 3. 13.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