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

[Python][기초] 파이썬 - 입출력

by codingbird1234 2025. 3. 25.

이번 시간부터 본격적으로 파이썬을 배워보겠습니다.

첫 번째 시간은, 입출력입니다.

왜 입출력부터 하는지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프로그램에는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것이 있고, 나오는 것이 있습니다.

물론 입력받거나 출력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어떤 데이터를 주면 그에 따라 실행하고 결과물을 내놓습니다.

입력이 없다면 정해진 결과만 나올 것이고, 출력이 없다면 내가 그 프로그램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것이 없을 것입니다.

 

우리가 아직은 어떤 동작을 하도록 프로그램을 만들 수 없지만, 적어도 데이터를 입력받고 출력하는 것은 기본입니다.

지금부터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1. 출력

먼저, 출력하는 것부터 해보겠습니다.

출력은 매우 간단합니다!

print("Hello, World!")

 

위 코드를 실행하면, "Hello, World!"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print() 함수 안에 어떤 값을 넣으면, 그 값이 출력됩니다.

 

글자를 출력할 때는 ""''안에 감싸서 ()안에 넣으면 됩니다.

숫자를 출력할 때는 그냥 숫자를 ()안에 넣으면 됩니다.

 

 

print('A')
print("A")
print('Hello, World!')
print("Hello, World!")
print(1234)
print(14.342)
print(True)

위와 같이 작성하고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출력됩니다.

 

A
A
Hello, World!
Hello, World!
1234
14.342
True

(터미널 : 출력 결과)

 

글자냐, 숫자냐, 참/거짓 값이냐 등에 따라서 출력 방식이 조금 다르죠?

파이썬에는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데이터의 종류를 구분해놨습니다.

이것을 자료형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다음 시간에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일단은 "이런 식으로 데이터를 출력하구나"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2. 입력

이번에는 입력을 어떻게 하는지를 배워보겠습니다.

우리가 출력을 할 때, print() 함수를 사용했죠?

입력을 할 때는 input() 함수를 사용합니다.

a = input() #터미널에 입력한 값은 a라는 변수에 저장
print(a)    #변수 a에 있는 값을 출력

 

위 코드를 실행하면, input() 함수를 때문에 터미널에 값을 입력할 수 있게 됩니다.

터미널에 값을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르면, 입력한 값이 a라는 변수에 저장이 됩니다.

그리고 나서 print() 함수를 통해, 변수 a에 저장된 값이 출력됩니다.

 

우리가 수학에서는 '='을 '같다'라는 의미로 쓰죠? '='의 왼쪽과 오른쪽이 같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파이썬에서는 '=' 오른쪽의 값을 왼쪽에 있는 변수에 저장한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때문에 input() 함수를 통해 터미널에서 입력받은 값이 a라는 변수에 저장되는 것입니다.

 

파이썬에서는 print() 함수를 사용할 때,  ','를 통해서 여러 가지 요소를 한 칸 씩 띄워서 출력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아래 코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name = input() #터미널에서 입력받은 값을 name이라는 변수에 저장
print("저의 이름은", name, "입니다!")

 

codingbird
저의 이름은 codingbird 입니다!

(터미널)

 

"codingbird"라는 글자를 입력 받아서, 다른 글자들과 함께 출력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입출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입출력만 배우나 했는데, 자료형... 변수... 같은 개념들이 나왔죠?

입문자의 경우, 처음 보는 개념일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변수와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